글쓴이 :
감이당 | 작성일 : 19-08-28 15:51
조회 : 1,778
|
-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까? - " 「섭대승론」은 4~5세기 무렵에 활약한 무착 스님께서 ‘인식의 토대’와 ‘인식현상’ 그리고 집착을 내려놓는 방법 등을 자세히 밝힌 책입니다. 이 책에서는 부처님께서 설파하신 연기법, 곧 생명계가 하나의 생명 공동체라는 가르침을 기반으로 바라밀 수행을 한다면, 인식의 토대가 전환되면서 깨달음을 성취하게 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제가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까?」라는 제목으로 이 책의 가르침을 풀어쓴 것은 무착 스님께서 생명계 그 자체가 앎의 네트워크라는 것을 전제로 「섭대승론」을 썼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무착 스님의 말씀은 앎이 작용하는 인지시스템을 잘 이해하는 것이 수행의 토대이면서 인식의 토대를 전환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는 것이지요....... "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까?/ 정화스님/ 북드라망/근간) 대승 불교의 요의를 정리했다는 무착(아상가) 스님의 <섭대승론>을 정화 스님 강의로 청해 듣습니다. 유식 불교니, 아뢰야식이니 혹은 6식이니 7식이니 하는 등등의 말이 무슨 말인지 몰라도 상관 없습니다. 의타기성, 변계소집성, 원성실성이란 말이 각각 성(性)을 가리키는 말이었는지 몰라도, 그 세 개의 성이 무엇이고 서로 어떤 관계인지, 아뢰야식의 유식설과 어떻게 다른 것인지 등등은 끝내 알 수 없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저 작은 하나의 생명 공동체일망정, 그리고 생명 공동체로서, 어떻게 이 한 생애 삶의 길을 이어갈 것인지 함께 고민해보고 싶은 분이라면, 이번 정화스님의 <섭대승론> 강의를 함께 듣길 권합니다. 우리는 과연 우리 자신을 얼마나 어떻게 알고 있을까요. 아래 일정은 9월 출간예정인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까>(정화스님)의 주요 내용을 강의 주제 형식으로 추려본 것입니다. 실제 강의의 주제와 전개는 아래와 많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제1강. 마음 활동의 근거와 양상 - 대승이 수승한 이유 제2강. 아뢰야식과 기억 제3장. 인식 현상 - 의타기성(인지시스템)/ 변계소집성(허망분별)/원성실성(집착 없는 앎) 제4강. 인식현상 알아차리기 - 학습과 마음챙김 제5강. 육바라밀 수행 - 자리이타의 완성 제6강. 법신보살과 보살행 - 전환된 인식의 토대와 실천 일정 : 2019. 9.25(수) - 10.30(수). 오후 7시-9시. 교재 :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까?>(정화스님, 북드라망) (*교재는 수강신청자에 한해 제공합니다) 회비 : 20만원 강사 : 정화스님 등록 계좌 : 신한은행 110-410-534247 (예금주: 전현주) 문 의 : 줄자 (010-5790-9020) 호정 (010-4735-7731) * 알림!! 꼭 읽어 주세요!! 남산 강학원&감이당은 ‘공부=공동체’를 실험하는 현장(場)입니다. 영리 단체가 아닙니다. _연구실은 새로운 삶을 실험하는 공간으로 모든 프로그램의 회비는 공동체 유지와 활동으로 사용됩니다. 그 외에 돈은 청년펀드로 보내 청년들의 자립을 위해 사용됩니다. 청년 펀드에 연결된 다양한 이야기들이 있으니 꼭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펀드 바로가기] _돈은 쌓아두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자 흐름입니다. 그 흐름은 자연스럽게 네트워크로 이어집니다. 프로그램 신청은 공동체에 접속하는 시작점입니다. 많은 인연들이 동참해서 새로운 삶의 길이 열리게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_신청 전에 신중하게 생각하신 후 회비 입금을 부탁드립니다. 등록 여부는 신청 순이 아니라 입금 순입니다. 강의가 시작되면 환불할 수 없습니다. * 주차공간이 없습니다. 되도록이면 대중교통을 이용하시고 거주자 우선주차공간에 절대 주차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