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기 화성3조 칼럼쓰기 > 화요 감이당 대중지성

화요 감이당 대중지성

홈 > Tg스쿨 > 화요 감이당 대중지성

서브배너_화성.png

1학기 화성3조 칼럼쓰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땅꼬 작성일17-04-11 08:17 조회1,571회 댓글0건

본문

1학기 화성3조 칼럼쓰기 땅꼬 


명절 증후군과 ‘통과의례’


해마다 돌아오는 명절에는 미리미리 몸이 아픈 것이 명절 디데이 2주전부터 허리 다리 부근 어딘지가 쑤셔오기도 하는게 인터넷 기사 등을 보면 ‘명절 증후군’이라 해서 웬지 모를 두려움을 통증으로 내 몸이 먼저 감지하는 것이 정말 신기하기만 하다. 명절 증후군. 특히 맞벌이 여성에게는 명절 전이건 후이건‘쉼(휴식)’이 없어 아무 일도 없었던 듯 일터로 바로 원대복귀하는 데 시차가 생긴다. 몸의 부적응으로 인한 시차는 그나마 견딜만 하더라도 유교사상과 남성위주의 가부장적인 명절 문화에 적응하느라 지친‘마음’은 어디에도 쉴 곳이 안보인다. 이 불편한 심신의 증상들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서, 때에 맞추어 미리미리 나를 잠식하는 것일까.


우선 명절증후군으로 말하자면, 제각기 처한 위치와 경험치가 모두 다르다. (시)부모, 시누, 올케의 입장, 마누라에게 명절내내 시달리는 남편 등 저마다의 입장차는 있을 것이다. 나의 시댁은 명절 귀성길이 보통 10시간 정도 소요되는 시골 깡촌이다. 시아버지는 다소 가부장적인 분으로 명절에 인천공항을 뜨는 이들을 조상에 대한 예를 모르는 사람들이라 생각하신다. 명절에 TV를 보면, 여행가방을 들고 있는 사람들이 부럽기 그지 없으나, 다만 그들과 내가 같은 것이 있다면, 도착지까지 10시간이상 걸리는 곳으로 간다는 것이다. 미국여행은 꿈으로 남겨둔 채, 시골에 도착하면 부엌일부터 시작해서 돌아오는 귀경길까지 쉼없는 피로가 웬지 모를 서운함과 함께 쌓이며,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며느리 역할’을 강요받은 느낌이었다. 아무도‘며느리 역할’을 강요하지 않았음에도 나는 왜 그런 느낌을 받는다 여겼고, 더 나아가‘며느리 사람’으로 공감받지 못함을 서운해 하며‘명절증후군’이라는 포장으로 둘둘말아 맘속 한 구석에 쟁여 놓고 다시 또 명절이 오면 꺼내며 반복하는 것인가.


이 모든 것이 나의 삶을 주체적 시선으로 들여다 보지 않은데서 출발했다고 한다면 답이 될수 있을까. 답을 찾기 위해서는 질문이 제대로 된 것인지 거듭 반문이 필요했다. 외부로 향한 질문에서는 나는 늘 피해보는 입장이었고, 결론은 한쪽 방향으로만 흘렀으며 (상황이나 상대방에 대한 서운함), 답은 불만족스러웠다 (여자는. 며느리라는 게 원래 그런것이다. 어쩔수없이 그러니까 해야만 한다는 식) 질문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 먼저, 내가 생각하는 사유의 틀을 다른 방향에서 볼 수 있는 시선이 필요했다. 그런 의미에서 고미숙 선생님의 책‘몸과 인문학’(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에서‘통과의례’라는 문구는 내게 삶을 주체적으로 바라보게 하는‘렌즈’로 다가왔다.

통과의례 - 인류학자 나카자와 신이치에 따르면 역사상 모든 부족은 남성에게 통과의례를 부여했다. 성인식때는 물론이고, 성인이 된 다음에도 혹독한 정화의 과정을 거쳐야 했다. 다름 아닌자연의‘비밀지’를 체득하기 위해서다. 여성또한 자식을 낳음에 산고를 거친다....자신을 구원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자신뿐이라는 것. 


〈통과의례〉라는 렌즈를 통해, 나는 결혼이라는 것이 순전히 나의 자발적 선택에서 비롯하였고, 명절뿐아니라 결혼과 가정의 유지를 위해 내가 해야 할 일들이 주체적으로 기꺼이 수행해야 하는 것임을 새삼 들여다 볼 수 있었다. 며느리 역할을 강요받았다고 생각하는 것 또한 내가 스스로를 가족 관계에서‘역할’로 자신을 한정짓고, 소외시키며, 인정받고자 하며 나의 선을 그어 놓은 것 아닌가. 그런데 참 앞뒤가 구색도 맞지 않는 것이. 어떻게 관계에서 스스로를‘의무 역할’이라는 것으로 소외시키고 나서도, 상대에게‘공감’으로 인정 받으려고 했는지. 참 지금 봐도 대단히 아이러니한 인정 욕망 구조다. 그러고 보면 명절증후군이라는 것은 애초부터 없었던 것 아닐까.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보지 않고, 스스로 고립을 자초해서 만들어낸 것 아닐까. 비단 명절증후군뿐 아니다. 심리에 기인한 불안증후군들이 이제야 어떤 경로로 삶에 시나브로 스며들었고, 그것들이 치유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은〈삶을‘주체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에서 출발한다〉고 이제 나는 확신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