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은 니체]충동의 영양법칙 실험하기 > MVQ글소식

MVQ글소식

홈 > 커뮤니티 > MVQ글소식

[금요일은 니체]충동의 영양법칙 실험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감이당 작성일19-09-28 09:26 조회1,745회 댓글0건

본문




충동의 영양법칙 실험하기

보연

나는 올해 4월부터 9월까지 총 6회에 걸쳐 ‘금요일은 니체’ 에세이를 연재하기로 되어있다. 그런데 마지막 에세이를 앞두고 출산에 대한 걱정으로 글쓰기가 부담스러웠다. 마무리를 하면 좋겠다는 생각과 지금은 글쓰기를 할 때가 아니라는 생각이 충돌하면서 결론이 나지 않았다. 결국 근영샘에게 마지막 글을 쓰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문자를 보냈다. 답문에는 정 힘들면 안 써도 되지만 ‘구미호의 99일’ 같다는 표현이 있었다. 순간 내 눈에는 ‘구미호’만 보였다. 고민 끝에 보낸 문자였는데 구미호가 되기는 싫어서 나는 다시 써보겠다고 말했다. 왠지 그 찝찝함이 출산에 영향을 미칠 것 같다는 근거 없는 생각도 들었다.

이럴 때 보면 니체의 말처럼 행위는 ‘자아’나 ‘주체’가 아니라 충동에서 비롯되는 것이 분명하다. 다시 글을 쓰기로 한 것을 단순한 변심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니체는 의지, 감정 등은 <내가> 원해서가 아니라 <그 무엇>이 원해서 나온다고 말한다. 그 무엇은 바로 ‘충동’이다. 충동은 쉽게 말하자면 성욕, 식욕, 수면욕처럼 ‘~하고자 하는 욕구, 기분, 감정’등이다. 우리는 충동 앞에서 속수무책이며 수동적인 존재가 된다. 마치 충동이 ‘나’라는 신체를 숙주로 삼아 나를 자기 멋대로 이끌고 있는 것만 같다.

니체는 행위는 수많은 충동들의 경합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것이라고 본다. 수많은 충동들이 굶주리고 있다가 경험이라는 음식물이 주어지면 가장 배고프거나 힘이 쌘 놈이 그것을 낚아채서 자신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충동이 아닌 자아나 주체가 행위를 결정한다고 믿을까? 충동들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인간이 충동 앞에서 수동적인 존재라면 행위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까?

anger-3166195_1280니체는 행위는 수많은 충동들의 경합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것이라고 본다.

자아와 주체에 대한 오해

우리는 고정 불변하는 나, 즉 ‘자아’에 대한 믿음이 있다.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세계 속에서 ‘유일한 나’라고 말할 수 있는 자아가 있다는 것이다. 흔히 ‘자아가 약하다’라고 말할 때, 자기주관이 약해서 남에게 휘둘린다는 의미로 많이 쓰인다. 우리는 자아가 세계를 인식하고 감정을 느끼며 의지도 결정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하지만 니체는 자아에 대한 이러한 믿음을 일종의 미신으로 치부한다. 그가 볼 때 인간은 고정불변, 유일한 존재라고 부를 수 없다. ‘나’는 다양한 충동들이 모였다가 흩어지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신체에는 ‘~하고자 하는 기분’ 즉, 충동들만이 우글우글 거린다.

수많은 충동들이 흐르고 충돌하며 어느 순간 가장 지배적인 충동이 신체를 통해 드러난다. 예를 들면, 어느 날 본인이 분노에 휩싸였다가 행복했다가 다시 우울해졌다고 치자. 이 현상을 ‘진상 민원인 때문에 화가 났다가 후식을 먹으면서 행복해졌고 내일 출근할 생각에 우울해졌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오늘의 나는 조금씩 다른 모습이었지만 유일한 나는 전혀 변하지 않았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오전에는 분노의 신체, 오후에는 행복의 신체, 저녁에는 우울의 신체였다. 충동들의 우선순위가 어떤 신체를 구성했으며 여기에 유일한 나는 없고 시시각각으로 모였다 재구성되는 신체만이 있다. ‘사유’ 또한 자아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다. 자아가 아니라 충동들 간의 상호 관계의 배열이 사유를 결정한다. 이 배열이 어떻게 달라지느냐에 따라 해석은 분노, 행복, 우울 등으로 달라진다. 과거의 사건이 언제든 새롭게 해석되는 것처럼 말이다. 따라서 우리에게 고정된 자아란 없다.

thought-2123971_1920자아가 아니라 충동들 간의 상호 관계의 배열이 사유를 결정한다.

그렇다면 ‘주체’는 어떤가? 주체야말로 진정한 행위의 입법자가 아닌가? 우리가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묻을 수 있는 것은 인간에게 ‘주체’가 있기 때문이다. 주체는 스스로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있으며, 무엇을 행할지도 선택할 수 있다. 니체는 이 말에도 콧방귀를 뀌며 주체를 오래된 망상의 하나쯤으로 여긴다.

  어떤 행위에 대해 알 수 있다는 것이 행위로 바로 이어지기에는 결코 충분하지 않다는 것, 인식에서 시작해 행위에 이르는 다리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놓은 적이 없었다는 사실이야말로 ‘무서운’진리가 아닌가? 행위는 우리에게 나타난 그대로의 것이 결코 아니다! 그런데 자! 내부 세계도 똑같다. 도덕적인 행위들은 사실 ‘다른 어떤 것’이다. 우리는 그 이상은 말할 수 없다. 그리고 모든 행위들은 본질적으로 미지의 것이다.

<아침놀, 132p, 책세상>

행위는 미지의 것이다. 그 이유는 ‘충동’들 사이의 위계질서를 아무도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질서는 시시각각으로 변한다. 주체가 있다면 나는 왜 갑자기 글을 마무리하기로 했을까? 내 주체는 분명히 글을 쓰지 않기로 결심했었다. 주체가 결정을 번복한 것인가? 임산부석에 앉아있는 중년 여성에 대한 불만이 최고조로 이른 어느 날, 나는 내 앞을 새치기하는 중년 여성을 확 밀쳐버렸다. 이 사건을 어떻게 설명해야할까? 나는 한순간도 그 여성을 밀치겠다고 결정한 적이 없다. 순간적으로 나온 행동이었고 내가 왜 그랬는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그때의 가장 강한 충동이 발현된 것이라고 말할 수밖에. 따라서 행위를 결정하고 책임질 수 있는 ‘주체’가 있다는 믿음은 근거가 없다.

충동의 법칙

  비유적으로 말해 어떤 충동이 충족되기를 갈망하거나, 자신의 힘을 사용하거나 펼치기를 갈망하거나, 일종의 공허를 충족하기를 갈망할 경우, 이 충동은 일상의 모든 사건들을 어떻게 하면 자신의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관점에서 본다. 인간이 달리든, 쉬든, 화를 내든, 읽든, 말하든, 투쟁하든, 환호성을 지르든 간에 갈증 상태에 있는 충동은 인간이 빠져드는 모든 상태를 건드려본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충동은 이 상태에서 자신을 위한 것을 전혀 발견하지 못한다. 그것은 기다려야 하고 계속 갈증에 시달려야 한다. 얼마 후 그것은 지치게 되고, 며칠 혹은 몇 달 동안 갈증이 해소되지 않으면 비를 맞지 못한 식물처럼 말라버리고 만다.

<아침놀, 137p, 책세상>

모든 행위는 ‘충동들’의 드러남이다. 지금도 어떤 충동은 말라 죽었고, 어떤 충동은 막 갈증을 해소했다. 하지만 내 입장에서 어떤 충동이 죽고 어떤 충동이 살았는지는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4월에는 에세이를 잘 쓰려는 충동이 컸을 것이다. 그러다 며칠 전에는 출산에 대한 두려움이 강한 충동이 되었다가 ‘구미호’라는 단어를 미지의 충동이 낚아채면서 다시 글을 쓰게 되었다. 그 미지의 충동은 어떤 놈인지 알기는 어렵다. 이것도 어디까지나 추측에 불과하다. 생각, 감정, 의지도 충동이라고 할 때 이것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명령하고 있다. 우리는 충동의 명령에 충실하게 복종한다. 충동들이 어떤 생각을 명령하는 동시에 우리는 그 생각을 하고 있으며, 어떤 감정을 느끼라고 명령하는 동시에 그 감정을 느끼는 내가 있다. 충동은 그 어떤 중재나 도움 없이 바로 자신을 실현시킨다.

decide-70742_1280생각, 감정, 의지도 충동이라고 할 때 이것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명령하고 있다. 우리는 충동의 명령에 충실하게 복종한다.

따라서 충동들은 ‘경험’이라는 음식물을 얼마나 재빨리 낚아채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느냐에 따라 생존이 결정된다. 충동이 일상의 모든 사건을 자신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려고 한다는 대목에서는 소름이 돋는다. 마치 충동이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느껴진다. 충동이라는 수많은 생명체가 내 몸을 베이스캠프로 경합을 벌이고 있다. ‘나’는 이러한 충동들의 이합집산의 결과물이다. 따라서 ‘나’라고 말할 수 있는 고정된 실체는 없다. 이제 더 이상 자아에 대해 묻지 말자. 오히려 우리는 서로에게 ‘당신은 어떤 충동이 우위에 있는 신체 인가요’라고 물어야 할 것이다. 아쉽게도 충동들에게 영양이 공급되는 법칙은 알려져 있지 않다. 키우거나 죽이고 싶은 충동에게 얼마나 자주, 어떤 음식을, 어떻게 공급해야 하는지 알 수 없는 것이다. 여기서 힘이 빠졌다. 그래서 인간은 ‘자아’나 ‘주체’라는 환상이 필요했던 것이 아닐까? 자신의 수동성을 인정할 수 없었던 것이다. 누구나 명령하는 사람, 주인으로 살기를 원하니까 말이다.

즐겁게 실험하기

우리는 충동 앞에서 수동적이며 행위 후에야 그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인정한다면 우리에게는 어떤 가능성이 남을까? 충동에 이끌리는 삶에 만족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현인들의 자기수련이 떠오른다. 충동에 수동적으로 끌려가는 삶이 아니라 자신만의 충동의 영양법칙을 발견해가는 삶이 수련인 것이다. 구미호가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100일이라는 기간과 마늘이라는 음식이 필요했다. 구미호가 99일에 인간이 될지 100일에 인간이 될지는 인간이 되고 난 후에야 알 수 있다. 하지만 100일째 되는 날 구미호는 자신만의 영양법칙 한 가지를 발견하게 된다.

충동의 영양법칙을 발견하려는 실험은 실패할 수도 성공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의 자유는 이 실험을 얼마나 즐겁게 지속할 수 있는가? 얼마나 많은 자신만의 영양노트를 발견하고 또 채워갈 수 있는가에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우리는 충동 앞에서 마냥 수동적인 존재는 아닐 것이다. 충동과 함께 살아가는 법, 고귀한 충동이 내 신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양법칙을 실험하는 삶, 다른 사람들과 노하우도 공유하면서 보다 즐겁게 자신의 삶을 꾸려갈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나는 출산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 책을 읽고 교육 등에도 참석하고 있다. 출산에 대한 다른 감각이 싹을 틔울 수 있게 경험이라는 음식물을 제공하는 중이다. 비록 이 기간이 너무 짧아서 아직은 불안 충동이 대세인 것 같지만 말이다. 하지만 이번 글쓰기를 통해서 내가 나름대로의 충동의 영양법칙을 실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험이 실패할지 성공할지 여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남은 기간 동안 조금 더 즐겁게 이 실험을 즐기고 싶다.

raise-3338589_1920우리의 자유는 이 실험을 얼마나 즐겁게 지속할 수 있는가? 얼마나 많은 자신만의 영양노트를 발견하고 또 채워갈 수 있는가에 있지 않을까?

이곳을 클릭하시면 MVQ에서 더 많은 <금요일은 니체>를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