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주역]모임에서 뜻이 떠난 자를 품어야 후회가 없다 > MVQ글소식

MVQ글소식

홈 > 커뮤니티 > MVQ글소식

[내 인생의 주역]모임에서 뜻이 떠난 자를 품어야 후회가 없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감이당 작성일19-10-02 10:55 조회1,410회 댓글0건

본문



모임에서 뜻이 떠난 자를 품어야 후회가 없다


이성남 (감이당 금요대중지성)

 

澤地 萃 

萃, 亨王假有廟, 利見大人, 亨利貞, 用大牲吉, 利有攸往.

初六, 有孚 不終, 乃亂乃萃, 若號, 一握爲笑, 勿恤, 往无咎.

六二, 引吉, 无咎, 孚乃利用禴.

九四, 大吉, 无咎.

六三, 萃如嗟如, 无攸利, 往无咎, 小吝.

九五萃有位无咎匪孚元永貞悔亡.

上六, 齎咨涕洟, 无咎.

 

인문학 공부에 발을 들인지 8년째다. 그동안 수많은 공부모임으로 모였다 흩어졌다를 반복해왔다. 그런데 사람이 모이는 곳에는 늘 갈등이 있었고 그로인한 혼란스러움 또한 같이 따라 다녔다. 지금은 문이정에서 세미나를 리드하고 있는 입장이다. 세미나가 꾸준히 유지되는 모임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공부모임도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어떤 이치로 모여들고 흩어지는지 또 모임은 누구에게로 모여드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 모임의 도리를 알려주는 췌(萃)괘를 공부하면서 그 궁금증을 풀어보고 싶다.

우선 택지췌의 상(象)을 보면 연못(澤)이 땅(地) 위에 올라가 있는 모습으로, 물이 모이는 모습이다. 왜 이렇게 모여들었을까? 단전에서 함께 모이는 이유를 이렇게 밝혔다. “순종하면서 기뻐하고, 강하면서 중도를 이루어 호응하므로, 함께 모인다.” 즉 췌의 상체는 태(兌)로 기쁨을 의미하고, 하체는 곤(坤)으로 순종을 의미한다. 췌의 위아래가 순종하면서 기뻐하는 까닭은 강하면서 중의 자리에 처한 구오효에 사람들이 호응해서 모여들기 때문이다. 오호~ 구오효는 세상 사람들을 어떤 방도로 모여들게 했을까? 공부모임을 주도하는 자는 어때야 하는지 구오효를 통해 비결을 알아보자.

‘구오효는 사람들을 모으는 데에 지위를 소유하고 허물이 없다. 믿지 않는 자가 있거든 원영정하면, 후회가 없다.’(萃有位无咎匪孚元永貞悔亡.)라고 한다. 구오효는 모임을 리드하고 있고 자리도 얻은 자인데, 왜 믿음을 얻지 못한 자에게까지 원영정해야 후회가 없다고 했을까? 공부모임에서 ‘믿지 않는 자’(匪孚)라면 공부의 방향성과 공부 방식에 동의하지 않는 자 이다. 그렇다면 모임에 다른 뜻을 품은 자에게도 ‘원영정’해야 한다는 의미가 뭘까?

문이정의 공부모임 중 3년 째 공부를 이어가고 있는 세미나가 있다. 주역세미나다. 이 공부모임은 현재 가장 걱정이 덜 되는(?) 공부모임이다. 세미나 회원들이 주역을 공부하는 열정이 높고 결석률이 낮다. 그러나 올해 3월 초 2년 동안 진행해오던 세미나 방식의 변화를 주면서 위기가 있었다. 꾸준하게 공부해오던 세 명의 회원들이 동시에 그만둔 것이다. 격주로 만나 공부하던 시간을 매주로 바꾸고, 텍스트를 정해서 돌아가면서 매주 발제하는 능동적인 공부 방식으로 바꾼 것이 결정적 이유였다. 그만둔 회원들에게 바뀐 세미나 공부방식이 낯설고 동의가 안됐던 것이다. 기쁨으로 모였던 모임이 이별을 고하는 순간이었다. 모임의 성격이 달라지면 이전과 다른 배치로 모이고 흩어지는 것이 당연한 이치였다. 그런데 그 흩어짐이 처음에는 충격으로 다가왔다. 나는 그들을 붙잡고 싶은 욕심에 내 결정이 성급했었다고 자책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더 이상 느슨한 공부모임을 리드하고 싶지 않다는 확고함이 있었다. 주역을 더 깊게 파고들며 지속적으로 공부해 나가고 싶다는 뜻 말이다. 나의 공부 방향과 취지에 동의하지 않는 이들이 비부(匪孚)라면 그들을 어떻게 수용해야 할지에 대한 해결책이 바로 ‘원영정’이다.

정이천은 ‘함께 모이는 데에 정도(正道)로 하지 않는다면 사람들이 모이는 데에 구차하게 화합’한다고 했다. 공부모임의 바른 도는 당연히 공부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공부가 성장해야 할 시기에 변화를 거부하는 뜻을 가진 자들의 눈치를 보는 태도는 공부에 대한 바른 태도가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공부모임을 리드하는 자가 갖추어야 하는 ‘원영정’(元永貞)이란 공부를 중심에 두는 덕을 닦으라는 말이다. 공부모임은 반드시 바른 도(貞)로 이끌어야 하고 세미나의 방향성에 동의하는 이들과 지속적으로 공부하는 것(永)은 물론, ‘모임의 뜻이 떠난 자’(匪孚)를 붙들고자 하는 욕심이 올라올 때 그 마음을 내려놓을 수 있어야 비로소 후회가 없다는 말이다. 그들의 마음 행로를 인정해주고 기다리는 것. 모임에 다른 뜻을 품은 자를 넉넉하게 품는 그런 성숙한 마음(元)을 닦아 나가는 것이 ‘원(元)’이다. 모임의 리더가 갖추어야 할 덕 중 가장 어려운 덕인 것 같다.

3월에 주역공부모임을 떠난 이 가운데, 꾸준하게 밴드모임에 들어와 세미나후기를 읽으며 공부하는 이가 있다. 모임의 경계에 있는 자(?)라고 할 수 있다. 그의 마음 행로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과정이 쉽지는 않았다. 그러나 내 마음이 한결 편해진 걸 보니, ‘원영정’의 덕을 닦아 나가는 한 걸음은 뗀 듯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