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주역]깎이고 벗겨져 씨앗으로 남는 글쓰기 수행 > MVQ글소식

MVQ글소식

홈 > 커뮤니티 > MVQ글소식

[내 인생의 주역]깎이고 벗겨져 씨앗으로 남는 글쓰기 수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감이당 작성일19-10-09 16:09 조회1,567회 댓글0건

본문




깎이고 벗겨져 씨앗으로 남는 글쓰기 수행



이한주(금요대중지성)

 

山地 剝 

剝, 不利有攸往.

初六, 剝牀以足, 蔑貞, 凶.

六二, 剝牀以辨, 蔑貞, 凶.

六三, 剝之无咎.

六四, 剝牀以膚, 凶.

六五, 貫魚, 以宮人寵, 无不利.

上九, 碩果不食, 君子得輿, 小人剝廬.

 

‘글쓰기로 수련하기’는 감이당의 명실상부한 수행의 한 방법이다. 글쓰기 발표 현장은 나에게 늘 번뇌의 시간을 그대로 통과해야만 하는 고행의 장이었다. 텍스트를 분석하여 주제를 찾고, 산만한 생각들을 겨우 정리한 뒤 글을 발표하면, 스승과 도반들은 헛다리로 짚은 내용의 문제점들을 예리한 코멘트로 지적해 주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뒤이어 찾아오는 것은 고마움보다는 폭발적으로 올라오는 자의식이었다. 집으로 돌아가는 기차 안에서 자책감과 열등감으로 머리를 쥐어뜯었던 날들이 얼마나 많았던가?

미사여구를 동원해 포장했지만 결국 자신의 실체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것이 글! 글쓰기 발표 현장은 지금까지 어설프게 꾸며왔던 삶의 파편들이 온전히 까발려지는 장이었다. 하지만 까발려지는 그 순간에 자신을 직시해야지만 문제의 핵심에 접근할 수 있었고 글을 다시 수정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글쓰기는 완성된 사유의 집결체를 글로 표현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번뇌의 덩어리를 온몸으로 통과하며 지금까지 꾸며왔던 것을 벗겨내고 깎아내는 ‘겪음’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 ‘겪음’이 수행이 아니고 무엇일까?

이러한 글쓰기 수행과정을 말해주는 주역의 괘가 있다. 바로 산지박 괘이다. 박(剝)은 꾸몄던 것은 반드시 깎이게 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래서 꾸밈의 도를 알려주는 비괘 다음에 오는 괘가 박괘이다. ‘빛 좋은 개살구’, 꾸밈이 지나쳤던 자의 허물이 벗겨지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 군자는 산지박 괘를 보고 소식영허(消息盈虛), 즉, 소멸하고 자라나며 가득 차고 비는 자연의 법칙을 알게 된다고 한다. 군자는 이러한 박괘의 이치를 받아들여 일을 처리하는 근거로 삼았다고 하지만, 소인의 입장에서는 깎임을 겪어 나가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소인들은 말한다. 박괘는 가장 흉한 괘라고. 그만큼 벗김을 당하는 것이 어렵다는 뜻일게다.

박괘의 괘상을 보자면 초효부터 오효까지 모두 음이고 마지막 상구효만이 양이다. 괘상이 보여 주는 것은 가장 편하게 몸을 누일 수 있는 침상 다리부터 쭉 깎여 올라가다가 피부까지 벗겨지는 흉함을 당하는 모습이다. 그렇다면 마지막 양인 상구효는 어떻게 될까? 효사는 이러하다. 큰 과일은 먹지 않음이니 군자는 수레를 얻고 소인은 집을 허문다.(上九, 碩果不食, 君子得輿, 小人剝廬) 이 말은 몸이 의탁했던 모든 것이 없어지고 살갗까지 벗겨진 최악의 상황까지 갔는데도, 그래도, 남는 것이 있다는 뜻이다. 그것은 바로 마지막 하나 남은 양, 큰 과일인 석과(碩果)이다. 석과는 먹지 않고 남겨 둔 과일이다. 왜 남겨 둔 것일까?

마지막 남은 한 개의 큰 과일, 이것은 모든 것이 벗겨지고 깎여져 회복할 수 없다는 절망에 이르게 되었을 때 하나의 빛으로 주어지는 씨과일인 것이다. 그런데 이 하나의 씨과일을 발견했을 때 군자와 소인의 입장이 확연히 다르다. 군자는 수레를 얻지만, 소인은 마지막 남은 초가마저 허물어버린다. 이 말은 무슨 말일까? 군자도 소인도 깎이고 깎여 최악의 상황에 다다르게 되자 그 속에서 오히려 하나의 씨앗을 발견한다. 군자는 이 씨앗을 소생의 기회로 삼는다. 그 소생의 방법은 백성을 받들어 모시게 될 수레를 얻는 것이다. 하지만 소인은 이 소생의 씨앗인 과일을 마지막 희망인지도 모르고 당장의 허기를 채우기 위하여 먹어버린다. 그것을 자신의 거처인 허름한 초가마저 허물어버린다는 것에 비유했으니 어디에서 소생할 기회를 찾겠는가?

처음 글쓰기 수련을 시작했을 때는 어떤 목적이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어느 순간 번뇌의 아수라장인 불통의 프레임에 갇혀 사는 삶을 발견했고, 그것이 너무 답답해서 시작한 공부였다. 공부를 하다 보니 어디에서부터 불통이 시작되었고, 언제부터 스스로를 프레임에 가두게 되었는지 알고 싶었다. 그리고 그것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도 간절히 원하게 되었다. 이것을 알아가는 방법이 글쓰기였다. 그러나 글쓰기를 통해 깎여 나가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소인이 씨과일조차 먹어버리듯, 차라리 돌아가서 프레임 속에 안주하며 사는 것이 낫겠다고 생각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번뇌의 아수라장으로 다시 돌아갈 뻔도 했다. 하지만 얼마나 다행인가? 모든 것이 벗겨져야만 자신을 만날 수 있는 이 과정을 수치스럽고 흉한 상황으로만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당장의 안락을 위해 글쓰기를 포기해 버렸다면 결국 수행의 길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을 것이다. 하지만 소인의 좁은 견해에서 조금씩 벗어나고 있었던 것일까? 깎여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다시 돌아갈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특히나 ‘글쓰기로 수련하기’는 갇혀 살았던 세계의 출구를 찾기에는 아주 좋은 방법이었다. 켜켜이 꾸몄던 것들을 벗겨내야지만 그 출구를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세상과 다시 소통할 수 있는 시작점인 출구, 이것이 바로 석과, 즉 씨과일이 아닐까?

석과불식(碩果不食), 만약 출구를 발견한 그 마음으로 세상에 나오게 된다면 무엇을 할까? 그것은 씨과일을 발견한 군자의 다음 행로에서 배울 수 있다. 군자는 씨과일을 땅속에 심는다. 우람한 나무에 풍성한 과일이 열리면 사람들이 많이 모일 것이다. 사람들이 과일을 맛있게 따먹고 나면 군자는 무엇을 할까? 또 씨과일 하나를 남겨 두고 그 나무를 베어 깎아 수레를 만들 것이다. 사람들이 많이 타도 안전한 수레. 그는 사람들을 태우고 함께 수행의 길을 계속 가리라. 이것이 군자의 길이다. 하지만 이 길을 가기 위해서는 꼭 명심해야 한다. 벗겨지고 깎여지는 고통의 과정이 함께 한다는 것을.

그래서 나는 오늘도 글을 쓴다. 벗겨지고 깎여져 하나의 씨앗으로 남겨지기 위해 글을 쓴다. 이것이 바로 ‘석과불식’의 수행의 길이다. ‘글쓰기로 수련하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