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주역]중년의 군살과 절제의 도 > MVQ글소식

MVQ글소식

홈 > 커뮤니티 > MVQ글소식

[내 인생의 주역]중년의 군살과 절제의 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감이당 작성일19-10-21 10:28 조회1,490회 댓글0건

본문




중년의 군살과 절제의 도



김주란(감이당 금요대중지성)

 

䷻ 水澤節

節 亨 苦節 不可貞.

初九 不出戶庭 无咎.

九二 不出門庭 凶.

六三 不節若 則嗟若 无咎.

六四 安節 亨.

九五 甘節 吉 往有尙.

上六 苦節 貞凶 悔亡.

 

중년이 되니 나잇살이라는 게 뭔지 실감난다. 처음엔 억울했다. 예전보다 많이 먹지도 않았는데 절로 살이 붙다니! 하지만 다시 생각하니 먹긴 먹었다. 밥 말고 나이. 그래, 이제 인생의 가을이다. 때에 따라 해야 할 일이 다른 법인데, 예전 같기를 바라는 건 어리석다. 가을 나무는 잎을 떨군다. 남길 걸 남기고 버릴 걸 버리지 않으면 겨울에 다 얼어죽기 때문이다. 나도 겨울이 오기 전 군살을 덜어내야겠다.

이렇게 다이어트를 결심하고 보니 주역의 절(節)괘가 눈에 들어왔다. 살, 아니 뼈를 깎는 각고(刻苦)의 고통이 절로 떠오르는 절 괘. 그런데 절 괘의 풍경은 예상외로 고요하고 아름답다. 수택절(水澤節), 물(수)이 가득찬 연못(택). 절제란 유혹을 참고 고통을 이겨내는 일이라 여겼는데. 뜻밖에 만난 고요한 풍경 앞에서 어리둥절해하다 괘사를 읽어봤다. 절은 형하다(,).” 절제가 형하다니? 이상하다. 절이라는 글자가 이미 마디 절(節)이다. 쪽쪽 뻗어 자라는 대나무도 마디는 굵게 불거진다. 울퉁불퉁하고 딱딱한게 마디다. 마디처럼 선을 딱 긋고 분별하는 것이 절제다. 형(亨)이란 두루 통하는 것이다. 그런데 왜 절제란 형통하다고 하는 것일까?

가만 생각해보니, 연못의 고요한 아름다움은 그냥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다. 부족하면 받아들이고 넘치면 흘려보내면서 쉼 없는 조절이 있었던 거다. 이런 조절이 만사를 형통하게 한다. 주역에서 우리에게 설명하고자 하는 절제란 조절력이지 뼈를 깎고 허벅지를 참는 인고(忍苦)가 아니다. 이어지는 다음 괘사를 보자. 괴로운 절제로는 올바를 수가 없다(苦節 不可貞).” 오호라, 바이올린의 현도 당기기만 하면 끊어지는 법이고 무리한 다이어트는 폭식을 불러온다. 절 괘는 긴장과 반성으로 점철된 ‘노오력’에 반대한다. 그렇게 해서 잠시는 효과를 거둘지 몰라도 지속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괴롭지 않아도 된다니, 아니 괴로우면 안된다니 이건 굿 뉴스다. 한데 그럼 어떻게 조절해야 한다는 걸까? 절 괘가 제시하는 최고의 절제는 쓰디쓴 고절(苦節)”이 아니라 감미로운 감절(甘節)”이다. “감미로운 절제라 길하고가면 기쁨이 있으리라(九五 甘節 吉 往有尙)”. 감미로운 절제라니! 이건 가히 절제의 패러독스라 할 만하다.

물론 처음부터 ‘감미로운 절제’가 되는 사람은 없다. 절제의 도에 있어 입문자는 당연히 스스로에게 시련을 가해야 한다. 초보 다이어터가 외식과 과식을 끊듯, 절 괘 초효는 문 밖 출입을 삼간다. 스스로 행위에 제약을 가하는 것이다. 그렇게 지금까지의 행동패턴에 제동을 걸었다면, 그 다음엔 이제 새로운 패턴을 형성해야 한다. 이때 다이어터에겐 산책이든 달리기든 운동이 필수다. 절 괘 구이효도 문안에 틀어박혀 있으면 흉하다고 경계한다. 나가지 말랬다가, 나가랬다가 말만 보면 이 또한 모순 같지만, 아니다. 앞에서 보았듯 고일 때는 고이고, 넘칠 때는 넘치는 것이 절 괘의 도이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면 도중에 폭식을 하거나, 운동을 못하는 일이 생길 것이 분명하다. 이 때를 조심해야 한다. 절제하지 못하더라도 스스로 탄식하고 후회하면 허물이 없다(六三 不節若 則嗟若 无咎).” 이러니 주역의 지혜는 참으로 넓고도 세밀하다고 감탄할 밖에!

이런 과정들을 하나하나 거쳐야 우리는 마침내 형통한 조절력을 득하게 된다. 조절한다는 생각도 없이 먹고 싶을 때 먹고 움직이고 싶을 때 움직이는데 심신에 고요한 기쁨이 가득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것이 주역에서 말하는 절제의 달인, 감절(甘節)의 경지에 오른 자의 모습이다. 절괘 대상전에서 공자님은 기뻐하면서 위험을 행하고합당한 지위를 감당해서 절제하고중정을 이루어 통한다.”고 하였다. 중년은 청년의 방황을 마치고 안정기에 접어든 나이이다. 사회적인 지위, 경제력, 인간관계 등 여러 방면에 있어 어느 정도의 조절력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제 그 힘으로 자신이 속한 공동체 안에서 소통하고 역할을 감당하여야 한다. 때론 위험도 무릅쓰면서! 그게 중년의 일이며, 그런 중년들이 활약할 때 세상도 감미로워진다. 아, 이제 나의 군살의 정체를 알았다! 중년기의 안정감, 그 만큼 덜 쓰인 에너지가 군살이 되어 붙은 것이었다. 공자님의 지도를 따라 오늘부터 다이어트 시작이다. 기뻐하면서 위험을 행하고합당한 지위를 감당해서 절제하고중정을 이루어 통”하도록아, 물론 밥도 좀 줄이긴 해야겠지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