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주역]‘무망(无妄)의 병’과 ‘약’ > MVQ글소식

MVQ글소식

홈 > 커뮤니티 > MVQ글소식

[내 인생의 주역]‘무망(无妄)의 병’과 ‘약’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감이당 작성일19-12-06 10:19 조회1,416회 댓글1건

본문






‘무망(无妄)의 병’과 ‘약’



오창희(감이당 금요대중지성)

天雷 无妄  ䷘

无妄, 元亨, 利貞, 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

初九, 无妄, 往吉.

六二, 不耕, 穫, 不菑, 畬, 則利有攸往.

六三, 无妄之災, 或繫之牛, 行人之得, 邑人之災.

九四, 可貞, 无咎.

九五无妄之疾勿藥有喜.

上九, 无妄, 行, 有眚, 无攸利.

수십 년 아픈 동안 참 많은 약을 먹었다. 먹는 것뿐 아니라 하여간 좋다는 치료는 다 한 것 같다. 알게 모르게 도움이 되긴 했겠지만 생각만큼 ‘이거다’ 싶은 약이 없었다. 그래서 그런지 천뢰무망의 오효, “무망지질 물약 유희(无妄之疾勿藥有喜 진실무망함의 질병은 약을 쓰지 않으면 기쁜 일이 있다)”가 오래도록 마음에 남았다. ‘진실무망함의 질병이란 무슨 뜻일까? 무망은 망령되지 않다는 것인데 왜 병이 생긴 걸까?’, ‘약을 쓰지 않아야 기쁨이 있다고? 왜 그런 거지?’ 하는 궁금증과 함께. 그러다가 최근 들어 어렴풋이, 그 의미가 이런 건가 하는 생각이 들면서 이 효를 가지고 글을 써 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무망 괘의 모습은 건괘가 위에 있고, 진괘가 아래에 있다. 진괘는 움직임을 상징하니, 괘상을 그대로 풀이하면 하늘의 도를 따라 움직이는 것이다. 정이천은 “진실무망이란 올바름일 뿐”이고, 올바름은 “이치의 올바름”이며, “올바르지 않다는 것은 과도하게 갔기 때문”이라고 무망을 풀이했다.(정이천, 『주역』, 글항아리, 524) 요컨대 무망, 즉 망령되지 않다는 것은 이치를 따를 뿐 과도하게 무언가를 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생각지도 않은 병을 얻고 보니 이치고 뭐고 생각할 겨를도 없이 ‘약’을 찾기에 급급했다. 무엇이 무망이고 무엇이 망령된 것인지 분간을 하기도 어려웠다. 아니 그런 생각조차 못했다. 아프기 전에도 그런 생각을 하며 산 게 아니었기에 그저 눈앞에 닥친 힘겨움을 덜고 싶은 마음만 가득했을 뿐.

그런데 무망지질이라면 약을 쓰지 않아야 기쁨이 있단다. 그보다 더 좋은 처방이 없을 텐데, 그건 도대체 어떤 병일까? 그런데 무망, 즉 망령되지 않음에 왜 병이 있을까? 이 질문을 곱씹다 보니 내가 무망을, 어떤 문제도 없는 온전한 상태로 생각하고 있었구나 싶다. 이 세상의 만사 만물은 역(易)이라는 이치 위에 온갖 일들이 만나고 충돌하고 변화하는 과정 속에 있다고 이해를 하다가도 막상 무망, 망령되지 않음이라는 말을 들으면 곧바로 완벽한 상태, 어떤 문제도 없는 상태를 떠올린다. 그러다 보니 무망에 왜 병이 있지? 라는 질문을 하게 되는 것이다. 마치 ‘병’이라는 것은 망령됨 그 자체여서 절대 용납할 수 없는 악인 것처럼 내 삶과 분리시켜 놓고 보는 것이다.

하늘의 관점에서 보자면 늘 항상됨이라는 이치 안에서 시간이 돌아가고 거기서 생각지도 못한 변수들이 끼어들고 그러면서 문득 다른 ‘조건’ 속에 놓이게 될 뿐이지 망령된 것과 무망한 것이 따로 있지 않다. 하늘은 애초에 먹구름으로 뒤덮이고 천둥번개가 치는 그 자체로 무망이지 다른 상태를 상정하지 않는다. 그걸 문제로 보는 것은 인간의 욕심 가득한 눈길이다. 구름 한 점 없는 맑고 푸른 하늘만을 갖고 싶은 욕심, 병 없는 편안한 몸을 갖고 싶은 욕심. 그래서 소위 ‘비정상적인’ 상황이 닥치면 무슨 수를 써서라도 이전으로 되돌리려는 시도를 한다. 온갖 ‘약’을 동원하는 것이다. 망령됨은 이런 태도에서 비롯된다.

발병 초기에는 급한 마음에 즉효가 있다는 용한 주사를 맞고 무리하게 걷는 바람에 관절이 더 망가지기도 했고, 수술 뒤 걷게 되고 나서도 몸에 쌓인 약독을 빼겠다며 무모한 단식과 절식을 반복하다가 엉뚱하게도 근육이 빠지는 바람에 손가락, 발가락 관절들이 급격하게 변형이 되기도 했다. 그러고도 치료를 멈출 수가 없었다. 무망의 상태로 되돌려야 하니까. 천둥 번개가 그렇듯이, 병 자체가 무망임을 인정하지 못하고, 그걸 망령된 걸로 보고 죽자고 달려들어 오버를 했던 것이다. 이는 무망의 상태가 따로 있고 망령된 상태가 따로 있다고 착각한 탓이다.

그러다가 오랜 치료로 돈도 들고 힘도 들고 지겹기도 했고 생각지도 않은 병들이 새로 생겨나면서 약들 사이에 충돌도 일어나고, 이렇게 다양한 조건들이 겹쳐지면서 필수로 복용하던 병원약과 서서히 멀어지는 상황이 만들어졌다. 그 무렵 감이당에서 동서양의 고전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동의보감, 불경, 니체, 루쉰, 연암 등등.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주역을 외우고 시험을 보면서 점차 공부가 생활 속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안 하던 공부를 용을 쓰고 하다 보니 몸이 더 아프기도 했다. 공부냐 건강이냐를 놓고 고민도 했다. 그러다가 공부가 확실히 생활의 중심에 자리하면서 병 자체가 나아진 건 아닌데 나도 모르게 마음이 편안해졌고 시나브로 몸도 편안해졌다.

어렴풋이나마 추측해 본다. 물약 유희라는 게 이런 건가 하고. 내 경험치 내에서 얻은 깨달음이라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약’을 중요하게 여길 때는 ‘병’이 물리쳐야 할 ‘악’이었다. 그리고 그런 악을 상정하고 나면 그걸 물리치는 데 많은 힘을 쏟게 되고 그러다 보면 그 일이 삶의 중심에 놓인다. 그 ‘병’이 쉽게 물러가지 않는 것일 때는 더 많은 에너지를 쏟게 되고 그러다 보면 몸과 마음이 편해지기가 더욱 어렵다. 그러나 병이 있는 그대로 무망임을 받아들이면, 그 병은 무망지질이 된다. 무망지질이라면 굳이 약을 쓸 필요가 없다. 약을 쓰지 않으면, 다시 말해 약을 삶의 중심에 놓지 않으면서 신기하게도 몸과 마음이 편안해졌다. 그리고 편안함에 더해서 기쁨 또한 따라온다. 그러니 이런저런 ‘병’을 얻게 되더라도 ‘약’을 찾아 헤매기보다는 ‘병’을 ‘무망지질’로 받아들이는 지혜를 터득할 일이다.



▶ 배너를 클릭하시면 MVQ 홈페이지에서 더 많은 글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猫冊님의 댓글

猫冊 작성일

저의 만성적인 기침에 대해서도 제 생각과 마음을 바꿔보아야 되겠습니다
당췌 공부가 덜 되어서인지 머리와 가슴과 몸이 같이 움직이질 않아서... 쉽지 않을 거 같긴 합니다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