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 사용 설명서]나의 냉소주의를 고백합니다 > MVQ글소식

MVQ글소식

홈 > 커뮤니티 > MVQ글소식

[니체 사용 설명서]나의 냉소주의를 고백합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감이당 작성일20-07-01 20:12 조회1,415회 댓글0건

본문





나의 냉소주의를 고백합니다




안상헌 (감이당 금요대중지성)

예전에도 공부란 걸 했었다. 대학원에 진학하여 박사까지 되었으니 나의 공부 이력은 나름 길다. 대학원 과정 7년을 보내는 동안 내 삶의 모든 일상은 학교가 중심이었고, 무엇보다 이 과정이 재미있었다. 당연히 정해진 과정은 잘 완수했다. 이에 덧붙여 전공 내에서 때론 전공을 넘나들며 이런저런 세미나도 열심히 했고 학회 참석도 열심이었다. 내 공부를 완성할 수 있다면 무엇이든 다 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실에 들어온 예쁜(?) 후배와 연애도 했고, 결혼도 했으며, 아이도 낳고 기르며 지금까지 잘 살아왔으니 내 인생에서 많은 걸 얻었다. 또 주변 사람들에게 “쟤들은 별나다”는 소리를 들으면서까지 선후배들과 현장의 다양한 실천가들이 모여 학교 밖에 연구소도 만들어 운영했다. 이 과정에서 배운 것이 지금 내 삶에서 쓸모가 있든 없든 그 힘으로 20년 이상을 살았다. 그러니 내 인생 전체로 보아 이 시절을 통해 많은 것을 얻었기에 과거의 내 공부와 일을 후회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 그러나 꼭 한 가지 고백하고 싶은 것이 있다. 이 고백을 하는 이유는 내가 니체를 읽고 쓰는 과정에서 극복하고 싶은 것이 있어서이고, 그것은 글쓰기와 관련된 나의 냉소적 태도와 관련된 문제이다.

대학원 공부에서 쓰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나의 경우 글쓰기가 기본인 인문학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글쓰기의 중요성이 다를 바는 없다. 대학원 공부도 결국에는 논문이나 책이라는 형식의 결과물이 있어야 하니 글쓰기는 최종적으로 넘어야 하는 관문이다. 그런데 나는 그때 이런 말을 자주 하고 다녔다. “다른 사람들이 보지도 않는 논문 뭐 하려고 자꾸 써”, “조잡한 글이나 책을 쓰는 것보다 잘 쓴 글이나 잘 쓴 책 한 권 사 주는 것이 더 좋지 않아?”, 심지어 “라면 받침으로 쓰일 책을 왜 또 써?” 등등. 이런 말은 당시 함께 공부했던 사람들에게도 먹혔다. 나만의 생각은 아니었고, 당시 우리들은 이런 우리의 태도를 겸손이라는 말로 포장하기도 했다. 내심 우리들만은 글을 함부로 쓰지 않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이를 겸손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이런 어투에 숨겨져 있었던 글쓰기에 대한 나의 태도가 진정 겸손이었을까? 니체의 말을 빌리면 그것은 “어리석은 겸손”이었다.

journal-2850091_640“다른 사람들이 보지도 않는 논문 뭐 하려고 자꾸 써”, “조잡한 글이나 책을 쓰는 것보다 잘 쓴 글이나 잘 쓴 책 한 권 사 주는 것이 더 좋지 않아?”

결코 드물지 않은 어리석은 겸손이 있다. 이런 겸손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은 결코 인식의 사도가 될 수 없다. 이런 종류의 인간은 새로운 어떤 것이 눈에 띄면 바로 그 순간 그로부터 몸을 돌리고 이렇게 말한다. “너는 자신을 기만하고 있다! 네 감각은 어디에 가 있는가! 이것은 결코 진리일 리가 없다.” 그러고는 다시 한 번 그것에 보다 예민하게 눈과 귀를 기울이는 대신 겁을 집어먹고 그 새로운 사물에서 달아나 가능한 한 서둘러 그것을 머리에서 내몰아버린다.”

(프리드리히 니체즐거운 학문인식을 위해 태어나지 않은 자책세상, 100~101)

당시 나의 관심은 어디에 있었던 것일까? 나의 관심은 내가 보기에 세상의 영욕을 빨리 누리기 위한 욕심으로 부실한 공부와 글쓰기를 하는 주변의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에서 약간의 우위를 차지하는 데 있었다. 이 알량한 비교 우위는 나를 이상한 만족감에 빠지게 했다. 공부란 걸 했던 내가 왜 변화하는 새로운 세상과 변화하는 새로운 인간을 향해 있지 못했을까? 그리고 그것을 왜 글로 표현하려 하지 않았을까? 지금에 와서야 깨달은 바이지만 많이 후회가 되는 지점이다. 공부란 원래 새로운 어떤 것을 발견하고 창조하는 것이고, 내가 공부를 했다면 새로운 어떤 것을 찾을 수 있는 예민한 눈과 귀를 가지기 위해 애를 써야 했다. 특히 글쓰기는 이러한 공부의 마지막 관문이지 않은가! 글쓰기를 피하고 세상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은 그것을 미루고 피한 만큼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그때 나는 글쓰기라는 낯선 도전에 대해서도 그것을 외면할 것이 아니라, 더 적극적으로 다가갔어야 했다. 그런데, 당시 나는 이 마지막 관문을 애써 외면했다. 글쓰기라는 마지막 난관 앞에서 겁을 집어먹고 달아났던 것이다. 글쓰기에 대한 나의 태도는 새로운 공부를 시작한 지금도 마찬가지다. 새로운 공부를 시작한 지 5년, 나는 지금의 공부가 좋다고 늘 입에 달고 다니면서도 또 이런 말을 하고 있었다. “이렇게 좋은 책들이 많고, 이것을 다 읽기에도 시간과 힘이 부족한데, 내가 무슨 글을 쓰고 책을 써!”, “고전은 내가 잘 읽어 주는 것으로 충분해!”, “자칫하면 내(네) 글이 고전을 망쳐!” 등등. 이렇듯 글쓰기에 대한 나의 태도는 과거와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 다만 과거에는 노골적으로 이런 투의 말을 했다면, 지금은 감이당과 남산강학원에서는 나의 냉소에 걸리지 않는 글쓰기를 하시는 분들이 있어 이런저런 말들을 속으로만 하고 있을 뿐이다.

man-2546791_640

이상은 내가 어리석은 겸손을 미덕으로 삼았던 시절의 이야기와 그것의 잔상이 남아있는 현재 나의 모습이다. 과거 나는 글쓰기에 관해 겸손을 빙자한 냉소에 빠져있었다. 당시 나는 ‘세상에 대한 흐릿한 인식’, ‘명료하지 못한 분석력’, ‘글을 쓸 지적인 민감성’이 부족했었던 것이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이런 나의 상태를 알고 공부란 나의 결함을 개선해나가는 것으로 알고 하나하나 고쳐나갔다면, 나는 지금까지 이 어리석은 겸손과 냉소에 빠져 살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러지 못했고, 그 결과 나는 지금까지 낡은 진리를 찾는 데 머물러 있다. 이런 나의 상태를 니체는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나는 사물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결코 보고 싶지 않다내가 새로운 진리를 발견하기 위해 창조되었단 말인가낡은 진리만 해도 너무나 많은데.”(위와 같은 글, 101) 니체의 말대로 과거 나는 나를 뺀 세상의 객관적인 진리가 있다고 믿었다. 과거 나의 공부는 그것을 찾아내는 것이었고, 그 과정에서 내가 수고는 많이 했지만 나 스스로를 진리의 구도자라 생각하지는 않았다. 그러니 과거의 나는 남들이 이미 써 놓은 낡은 진리를 찾아다닐 수밖에 없었다. 이에 대해 나는 약간의 염증을 느끼고 있었고 이 염증에 대한 나의 반응이 어리석은 겸손과 냉소로 이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나의 어리석음과 냉소는 내가 공부의 마지막 관문인 글쓰기를 넘어서지 못하게 했다.

하지만 나는 이제 니체를 통해 새로운 공부의 길을 열어가고 있고, 그 과정에서 나의 글쓰기에 대한 태도를 바꿀 수 있는 니체의 말 한마디를 찾았다.

“학문은 커다란 고통을 가져다주는 것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책학문의 목표에 관해, 83)

그렇다! 그것이 세상에 대한 인식이 깨지면서 오는 고통이든, 아니면 이제 막 시작한 자기 수련으로서의 글쓰기에서 오는 고통이든, 니체는 인간의 인식과 표현은 그 자체가 고통임을 말한다. 그리고 니체는 이 고통에 대해 고통에 대한 처방은 고통이다.”(위와 같은 책고통의 지식, 118)라는 처방을 내놓는다. 나는 니체의 이 처방을 기꺼이 받았다. 나는 이제 과거와 달리 “글쓰기로 내가 바뀐다!”는 말에 동의한다. 이제 나의 글쓰기는 나에게 다가오는 새로운 상황을 직면하게 만들 것이다. 이제 나의 글쓰기는 나의 지적인 민감성을 키워줄 것이다. 이제 나의 글쓰기는 나와 세상을 예민하게 보고 듣는 눈과 귀가 될 것이다. 하여, 나의 글쓰기는 나를 더 이상 냉소적인 인간이 아닌 나의 일상을 생성하면서 살아가는 인간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writing-1209121_640






logo-01.png

▶ 배너를 클릭하시면 MVQ 홈페이지에서 더 많은 글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