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 사용 설명서] 문제는 좁은 인식의 틀이다 > MVQ글소식

MVQ글소식

홈 > 커뮤니티 > MVQ글소식

[니체 사용 설명서] 문제는 좁은 인식의 틀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감이당 작성일20-10-09 18:54 조회1,272회 댓글0건

본문




문제는 좁은 인식의 틀이다

안상헌(감이당 금요대중지성)

니체는 왜?

사실은 이러했다나 학자들이 살고 있는 집을 뛰쳐나온 것이다그러고는 문을 등 뒤로 힘껏 닫아버렸던 것이다.

(니체,차라,학자들에 대하여, 책세상, 212)

니체는 학자였다. 그는 25세에 박사학위도 없이 바젤대학의 교수로 임용될 만큼 촉망받는 학자였다. 한편 니체는 대학에 있을 때부터 기존의 학풍과는 다른 사유와 글쓰기를 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철학자 니체’를 있게 한 그의 첫 번째 작품인 『비극의 탄생』의 경우 당시 자신이 몸담고 있었던 고전문헌학계에서 혹평을 받은 것으로 유명하다. 이후에도 니체는 ‘아포리즘적 글쓰기’라는 자신만의 문체로 글을 썼다. 당연히 대학에서 인정하는 논문식 글쓰기와는 거리가 먼 방식이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저술에서 학자들을 언급하고 있고, 이때마다 학자들에 대해 혹독한 비판을 한다. 당시 유명 저술가였던 슈트라우스는 ‘교양 속물’을 대표하는 지식인으로, 대학을 고집한 칸트의 경우 ‘번데기’에 비유해 비판하고 있다.(『반시대적 고찰』) 이렇게 니체는 스스로 학자였지만, 학자에 대해 전혀 호의적이지 않았고, 결국 10년 정도 대학교수 생활을 한 후 그 자리를 떠난다. 겉으로는 자신의 질병(심한 두통 & 안통眼痛) 때문이었지만, 이것만으로 니체라는 한 철학자의 삶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하다. 나는 개인적으로 다른 더 중요한 이유가 있었다고 본다. 이후 니체는 죽을 때까지 학자인 듯, 학자가 아닌 듯한 삶을 살아간다. 대학이라는 틀에 갇혀 사유하고 강의하며 글을 쓰는 일에서 벗어났다는 점에서 그는 학자가 아니었다. 반면 그는 학자들의 세계를 박차고 나왔지만, 자신만의 사유에서 길어 올린 것들로 지금의 ‘니체 철학’을 남겼다는 점에서 그는 위대한 학자이다. 니체는 대학에 안주하는 철학을 비판하면서, 철학이 어떻게 매주 같은 시간에 동일한 양만큼, 예를 들어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서 4시까지, 가능한지를 물었다. 대학에서 자신의 철학적 질문에 답을 찾지 못한 니체는 오랜 방랑 생활을 하게 된다. 그는 낮에는 걸으면서 사유하고 밤에는 그 사유를 글로 옳기는 생활을 이어간다.

니체는 왜 이곳에서 빠져나왔을까? 학자들의 출신 성분을 비판하는 그의 글에서 그 단서를 찾아볼 수 있다. 이 글을 학자에 대한 비판으로 읽어도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 글을 ‘앎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를 성찰하는 것’으로 바꾸어 읽어보면 어떨까?

classroom-2093743_640이렇게 니체는 스스로 학자였지만, 학자에 대해 전혀 호의적이지 않았고, 결국 10년 정도 대학교수 생활을 한 후 그 자리를 떠난다.

다양한 자료들을 정돈하고 서류함에 분류하여 체계를 잡는 것이 주요 업무인 서기와 사무직 집안의 자손들이 학자가 되면 체계화를 통해 문제가 거의 해결되었다고 여기는 경향을 보인다. / 변호사의 자식은 학자로서도 변호사가 될 수밖에 없다그는 자신의 일에서 첫째로도 정당성을 원하고 둘째로도 정당성을 원한다. / 프로테스탄트 목사나 교사의 자식들은 학자로서 어떤 문제를 대담함과 열정을 가지고 제기하기만 하면 그 문제가 이미 입증된 것으로 여기는 순진한 확신을 보인다. / 유대인 출신의 학자들은 모두 논리를다시 말해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동의를 강요하는 것을 매우 중요시한다.

(니체,즐거운 학문』,학자들의 출신 성분에 대하여,  책세상, 331- 332)

당시 니체의 눈에 들어온 학자들의 모습이다. 그런데 지금의 학자들도 다르지 않다. 나아가 학자가 아닌 현대인들의 모습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 앎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와 많이 닮았기에 그렇다. 현대인들이 인간과 세상에 대해 무엇을 안다고 말할 때 ‘체계적으로 정리를 잘하는 것’, ‘법이나 제도와 같은 정해진 기준에 합당한 것’, ‘대담한, 때론 무호한 도전과 열정만 있으면 다 된다는 것’, ‘데이터라는 이름으로 논리와 근거를 들이대면 모두 설득할 수 있다는 생각’ 등과 매우 닮았다. 이것들이 우리가 학자이든 아니든 앎을 대하는 태도이다. 뭔가 답답함을 느끼지만 그렇다고 다른 대안도 없는 상황! 원래 앎은 이런 것이 아닌가!? 그렇지 않다. 니체는 앎과 삶을 그렇게 보지 않는다.

좁은 인식의 문을 닫고 삶이라는 광장으로

니체가 학자들의 출신 성분에 빗대어 비판하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는 결국 우리의 좁은 인식의 틀이 문제라는 것이다. 그것이 무엇이었든지 간에 니체의 눈에 들어온 학자들은 ‘인간 세상의 구석 자리’에 처박혀 있는 사람들이었다.

하지만 자연과학자는 자신이 처한 인간 세상에서의 구석 자리에서 벗어나자연을 지배하는 것이 궁핍이 아니라 터무니없을 정도의 과잉과 낭비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생존을 위한 투쟁은 예외에 속하며삶의 의지가 일시적으로 제한된 것에 불과하다크고 작은 투쟁들은 언제나 우월성장확산힘을 둘러싸고 이루어지고 있다이것들은 힘에의 의지를 따르고 있으며이 힘에의 의지가 바로 삶의 의지이다.

(니체,즐거운 학문다시 한번 학자들의 출신 성분에 대하여」, 책세상333-334)

우리는 ‘자연! 자연!’ 하면서 실제로는 ‘자연’을 왜소하게 이해하거나, 그 본성을 잃어버리고 살아간다. 니체는 이렇게 반문한다. 자연이 언제 궁핍했던 적이 있는가. 자연이 언제 체계적이고 논리적이었던 적이 있던가. 자연은 언제나 ‘터무니 없을 정도로 과잉과 낭비’가 아닌가. 우리가 지금까지 자연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생각들은 각자의 입장에 갇힌 예외적인 작은 사례가 우리의 인식을 지배하게 된 결과인 것이다. 자연에 대한, 세상에 대한 좁은 인식은 한 생명이 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가는 것을 방해하고, 나아가 생명 자체를 왜소하게 만든다. 좁은 인식은 우리의 앎을 특정한 구석 자리에 머물게 함과 동시에 우리의 힘을 꺾어버린다. 자연에 대한 오해가 대표적이다. 또 이것은 삶에 대한 오해와 왜곡으로 이어진다. 자연은 늘 인간에게 충분히 많은 것을 베풀어 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언제나 불안과 궁핍의 논리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살아간다. 삶이란 단지 생존을 위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평생 생존 타령을 하고 있다. 죽을 때까지 먹고살 것이 충분한 사람들도 생존을 위해 더 많은 것을 축적 하는 일에 몰두한다. 평생 월급 받고 퇴직 이후에는 연금을 꼬박꼬박 받으면서도 자신은 가난하다는 투정을 부린다. 그러면서 자신의 삶을 생생하게 꾸려가기 위해서는 앎이 필요하다는 것도, 또 그것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배워야할 것인지를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한다. 언제까지 이렇게 살아야 하나! 우리는 이 터널에서 빠져나와야 한다. 어떻게?

tunel-2711078_640

추석 전날 방영된 가객 나훈아의 공연과 그의 멘트가 며칠이 지나도 세상에 회자되고 있다. 대중의 마음을 많이 흔들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무엇이 대중의 마음을 흔들었을까? 그는 이런 말을 했다. “우리가 세월에 끌려가서는 안된다. 우리가 세월을 끌고 가야하는데 그 방법은 무엇일까?” 그의 답은 이렇다. “훈장같은 것은 나를 가두는 것이니, 당연히 안 받는다. 우리 같은 예술가들은 영혼이 자유로워야 하는데, 나는 그 훈장의 무게를 감당할 수 없다. 대신 자유로운 영혼과 예술을 위해 나를 구속하는 것들은 용기를 내서 때려치우기도 하고, 가끔 몇 년씩 잠적하기도 했다”고 자신의 삶을 고백한다. 그래야 세월이 더디 간다는 것이다. 그 더디 가는 세월 동안 자신은 가수로서 창작활동을 하고 이 작품으로 대중과 함께하려 애쓴다고 고백한다.

우리가 인간 세상의 ‘구석 자리’에서 빠져나와 삶이라는 광장에 당당히 설 수 있기 위해 숙고해 볼 만한 좋은 멘트이다. 그래서인지 어떤 학자(윤**)는 이 가객의 인기에 기대어 대통령과 한 지식인(유**)을 빈정대고 있다. 대통령에 대해서는 내가 할 말이 없다. 다만 한 지식인에 대해 니체의 입장에서 한 마디 응원할 수는 있겠다. 이제 구석 자리에서 걸어오는 싸움에 휘말려 들어가지 마시라고! 당신은 지난 몇 년간 충분히 역할을 했으니 이제 과감히 그 논쟁에서 빠져나와 진정 당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시라! 왜냐하면 이들에게 응대하는 것은 그 마음이 어떠하든 간에 그들이 원하는 왜소한 세상에 다시 끌려들어가는 것이 될 것이고, 그렇게 된다면 당신은 영원히 그 자리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 그러니 당신은 이제 뒤돌아보지 말고 그 문을 쾅 닫아버리시라! 그러면 당신에게는 벌써 새로운 것이 문 앞에서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니체는 그렇게 했다. 그는 학자들이 쳐 놓은 울타리를 벗어나, 자신에게로 돌아갔다. 이때부터 그는 세상이 무엇인지, 인간이 무엇인지, 대중과 함께 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즉 삶이 무엇인지를 숙고하고 글을 썼다. 그리고 이 사유와 글쓰기는 왜소하기 짝이 없는 현대인들을 삶이라는 큰 광장으로 끌어내는 ‘니체 철학’을 탄생시켰다. 이보다 더 큰 쓰임이 어디에 있겠는가.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우리도 각자의 좁은 인식틀에서 나와 그 문을 굳게 닫고, 삶이라는 광장으로 나가보자. 모두가 그러해야 하고, 이제 우리는 그렇게 해도 될 만큼 충분히 풍족한 세상에 살고 있다. 좁은 인식의 틀에 갇힌 인간 세상의 구석 자리에서 빠져나와 삶이라는 광장에 서야 이 길이 보인다.

nyc-5276112_640좁은 인식의 틀에 갇힌 인간 세상의 구석 자리에서 빠져나와 삶이라는 광장에 서야 이 길이 보인다.

logo-01.png

▶ 배너를 클릭하시면 MVQ 홈페이지에서 더 많은 글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