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과 우주의 비전탐구, 동의보감 > 스크랩

스크랩

홈 > 자유게시판 > 스크랩

몸과 우주의 비전탐구, 동의보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도담 작성일11-10-09 13:01 조회4,792회 댓글0건

본문

몸과 우주의 비전탐구, 동의보감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16세기 들어서면서 조선 전역에 역병(疫病)이 창궐했다. 설상가상으로 기근과 전쟁(임진왜란)이 덮쳐, 백성들은 굶주림과 질병으로 죽어갔다. 의서는 넘쳐났으나, 처방전에 적힌 중국 약은 구하기도 힘들뿐더러 약값도 턱없이 비쌌다. 게다가 시대마다 다양한 유파들의 의론(醫論)이 서로 다른 까닭에, 이 중국 의서들을 실전에 이용하기란 여간 혼란스럽지 않았다.


 


이에 선조는 조선의 실정에 적합한 의서를 간행하라는 명을 내린다. 하교를 받은 허준은 양예수, 정작 등과 함께 동의보감 편찬에 착수했다. 초기엔 함께 작업을 했으나 후반기 작업은 허준이 혼자 감당해야 했다. 편제 방침은 번다한 중국 의서를 정리하고, 구하기 쉬운 향약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무엇보다, 삶의 수양을 약이나 침 치료 우위에 두어, 생활을 바꿔 몸과 마음의 질병을 치유하는 양생적 패러다임을 담아내는 데 있었다.


 


‘동의(東醫)’라는 뜻은 ‘북의’와 ‘남의’라는 중국 의학의 두 축에서 벗어난 조선의 독자적인 의학을 표현한 것이다. 그러나 ‘동의’의 지엽성은 중국과 일본에 이 책이 전해지면서 보편적인 명사로 거듭났다. 중국의 임상가들을 사로잡았고, 일본 전통 의학의 표준을 제시한 책. 동의보감 안에는 도대체 어떤 진경이 펼쳐지고 있는 걸까?


 


몸, 우주의 통로


 


“둥근 머리는 하늘을 상징하고 모난 발은 땅을 상징하며, 하늘에 사시(四時)가 있듯이 사람에게는 사지(四肢)가 있고, 하늘에 오행(五行)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오장(五臟)이 있으며. 하늘에 육극(六極)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육부(六腑)가 있고,...”<동의보감, 신형문>


 


동의보감은 자연의 형상과 사람의 기관을 비유하는 것으로 첫 장을 열었다. 요지는 사람의 몸과 우주는 통해있다는 것. 여기에 배경이 되는 이론은 '음양오행(陰陽五行)'이다. 본시 음양과 오행은 몇 가지의 코드로 하늘과 땅 그리고 인간을 동시에 해석하고 연결한다. 동의보감은 이 언어를 바탕으로 “천지의 정기(精氣)가 만물의 형체가 되”는 이치를 사람의 몸에 적용했다. 그렇게 천지의 기운은 사람의 몸과 마음으로 이어져 있다. 때문에 통하면 아프지 않고(통즉불통), 통하지 않으면 아픈 것(불통즉통). 바로 이러한 이치가 동의보감 양생 의학의 핵심이다.


 


우주의 기운이 몸으로, 마음으로 통해있는 것처럼, 몸과 마음도 서로 소통한다. 구체적으로, 간(肝)은 분노, 심(心)은 기쁨, 비(脾)는 생각, 폐(肺)는 슬픔, 신(腎)은 두려움의 감정과 연결된다.


 


예컨대, 화를 자주 내면 간이 상한다. 너무 기뻐하면 심장이 다치며, 두려움이 지속되면 신장에 병이 생긴다. 감정은 삶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이다. 그래서 희노애락과 오장육부가 연동하는 것은 질병이 삶 전체 안에서 해석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결국, 병의 치유는 어떻게 살아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인 셈. 이러한 양생관은 몸과 삶을 단절시켜 병균을 막으려는 위생의료와 완전히 다른 차원의 세계관이다.


 


비워야 산다


 


이런 양생적 신체를 갖는 구체적인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몸과 마음을 가볍게 하고 삶의 찌꺼기를 덜어내면 된다. 언제나 몸의 안팎에 적체된 삶의 잉여가 소통의 길을 막는다. 몸 안에는 혈전, 근종과 암세포, 담음(痰飮) 등이 쌓이고, 삶에서는 지나친 욕심으로 인한 잉여물이 쌓인다. 잦은 감정의 분출, 넘치는 말, 그리고 자신과 가족만을 위해 쌓아둔 재물 등이 그것이다.


 


약과 침은 몸 안의 찌꺼기들을 일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몸은 기본적으로 삶의 영향력 아래에 놓여 있는 법. 삶이 변해야 몸도 변한다. 따라서 삶에서 덜어내면 몸의 찌꺼기도 비워진다.


 


“환자로 하여금 마음속에 있는 의심과 염려스러운 생각 그리고 일체 헛된 잡념과 불평과 자기 욕심을 다 없애 버리고 지난날의 죄과를 뉘우치게 해야 한다. ··· 이렇게 된다면 약을 먹기 전에 병은 벌써 다 낫게 된다” <동의보감, 신형문>


 


현대 임상의학을 넘어서


 


바야흐로 의료 소비의 시대다. 첨단 진료 장비와 의료 서비스는 날로 진보해 간다. 하지만 그럴수록 현대인의 몸과 마음은 더욱 소외 된다. 이에 사람들은 ‘대체의학’을 찾기 시작했다. 몸과 마음이 함께 치유되길 원했고, 기왕이면 스스로 치유하고 싶어 했다. 그러나 제법 의미 있는 대안들이 제시 되었음에도, 많은 대체의학들은 웰빙소비상품 이상의 가치를 생산하지 못했고, 소비자들은 여전히 자기 몸의 주인이 될 수 없었다.


 


그런 점에서 동의보감의 이치는 오히려 이 시대에서 더욱 발할 수 있다. 몸과 마음, 질병과 삶 그리고 우주를 엮는 광대한 시야. 그러면서도 구체적으로 삶의 용법을 기술해 놓은 치밀함. 무엇보다 특별한 지식 없이도 이 용법들을 스스로 찾아보고 쓸 수 있도록 편제되었다는 점. 동의보감의 이런 미덕은 현대임상의학의 한계를 넘어설 뿐만 아니라, 삶을 통찰하고 재구성하는 자기 구원의 길을 열어줄 것이다.


 


동의보감은 이제 세계적으로 알려진 기록유산이 됐다. 하지만 그 유명세에 비해 사람들에게 거의 읽혀지지 않은 책이다. 그것은 의학은 어려운 것, 하여 의사만이 취급해야 한다는 편견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질병의 치유는 몸과 마음의 주인이 자기 자신이라는 인식에서 시작돼야 한다. 그런 주체적인 인식만이 질병과 삶의 치유법을 스스로 찾게 되는 길이며, 그 길목에서 동의보감과 새롭게 마주하게 될 것이다.


 


 


 


신형장부도(身形臟腑圖)와 해부도


 


10년 전, 한의학 바람을 몰고 온 드라마 ‘허준’. 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의 하나는 스승 유의태가 자신의 육신을 허준에게 내어주는 씬이다. 장엄하게 연출된 이 장면을 보고 시청자들은 해부를 경험한 허준이 더 뛰어난 명의가 될 거라 믿었을 것이다. 과연 그럴까?


 


서양의학에서의 해부는 그 나름의 가치가 있다. 진단체계가 주로 보이는 것에 의존해왔기 때문이다. 해부는 의학의 상징이자 의사의 특권이 되었다. 사람들에게 해부는 큰 강이었고, 여기서부터 의학은 전문화된 영역으로 인식되었다. 일반인은 건널 수 없는 강이기에, 해부는 보다 전문적이고 진보적인 의학의 표상이 되었다. 허준의 해부 장면은 바로 이러한 암묵적인 전제가 깔려 있는 것. 그래서 시청자들은 해부학을 공부한 허준이 다른 의사와 차별화된 의학을 구사할 거라고 믿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장면은 잘못된 설정이다. 스승이 자신의 몸을 희생할 만큼 해부할 기회가 없었을 거라는 오해도 그렇거니와, 해부학으로 허준의 의술을 한 차원 높이려 하는 작가의 의도도 엉터리이기 때문이다. 해부학은 한의학적 진단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 한의학에서의 진단은 보이지 않는 기운의 배치를 읽어내는 것. 그러니 죽어있는 몸을 본들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동의보감 첫 장에 실린 한 장의 그림은 그러한 한의학의 인식론적 배치를 잘 보여준다. 몸 안의 장부를 엉성하게 표현한 ‘신형장부도’라는 이 그림은 실상 유형의 장부만을 묘사한 것이 아니다. 정기가 다니는 미려관, 녹로관, 옥침관 그리고 정기의 주요 통로인 척추. 이것들은 진단의 핵심인 무형의 기운을 배치해 놓은 것이다. 당연히 유형의 장기를 묘사한 해부도와는 다를 수밖에 없다. 한의학에서 명료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장부와 장부의 관계, 몸과 마음, 사람과 우주의 관계를 읽어내야 한다. 그러려면 보이는 것만으로는 어림없다. 보이지 않는 기운을 봐야 한다. 신형장부도는 그런 시야로 해독돼야 한다.


 


안도균(도담), 서울신문(2010년 10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양력 2024.4.26 금요일
(음력 2024.3.18)

유튜브